반응형

전체 글 713

head 태그 내부 요소들 정리

- html 문서의 제목(title) 정의 - 외부 문서를 가져와 연결할 때 사용. 대부분 css파일이지만 css파일이 아니어도 사용. 이런 형식으로 쓰는데 여기서 rel은 가져올 문서와의 관계이며 필수속성이다. relation(관계)의 줄임말. href는 가져올 문서의 경로를 명시한다. hypertext reference의 약자이다. favicon(파비콘)은 favorite icon의 줄인 말인데 브라우저 탭 부분에 표시되는 대표 아이콘을 favicon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하길 권장한다. 주로 favicon.png나 favicon.ico 파일이 사용된다. - 스타일(css)를 html 문서 안에서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 - 자바스크립트를 html문서 안에서 작성할때 사용하기도 하고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외부..

HTML <!DOCTYPE html> 정리

DOCTYPE html> html의 DOCTYPE부분은 html의 버전을 정의한다.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 형식을 정의하며, 웹 브라우저가 어떤 html 버전의 해석 방식으로 페이지를 이해하면 되는지를 알려주는 용도이다. 위의 DOCTYPE 형태는 html5를 나타낸다. 이전 버전인 xhtml이나 html4의 DOCTYPE은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이것 처럼 html5의 DOCTYPE의 뒤에 PUBLIC 이라는 단어가 나오고 그 뒤에도 뭐가 더 줄줄 나온다.

VSCODE 단축키들 정리

사이드바 열고 닫기 컨트롤 + B 빠른 탐색(파일이나 기호 탐색) 컨트롤 + P 모든 명령 표시(에디터의 모든 명령에 접근) 컨트롤 + 쉬프트 + P 편집기 닫기 컨트롤 + W 파일 내에서 찾기 컨트롤 + F 파일 내 내용 찾기/바꾸기 컨트롤 + H 커서, 드래그가 있는 줄의 코드를 윗/아랫줄로 이동시키기 알트 + UP/DOWN 커서, 드래그가 있는 줄의 코드를 윗/아랫줄에 복사하기 알트 + 쉬프트 + UP/DOWN 들여쓰기 탭키 내어쓰기 쉬프트 + 탭키 들여쓰기의 반대 방향으로 코드를 이동시킨다. 편집기 전환 컨트롤 + 페이지 업/다운 편집기 분할 컨트롤 + 백슬래쉬

햇갈리는 특수문자 정리

` Backtick(백틱), Grave(그레이브) 숫자 1번키 왼쪽에 자리한 기호. 작은 따옴표 같지만 작은 따옴표가 아니다. ~ 물결표시, Tilde(틸드) 숫자 1번키 왼쪽에 자리한 기호. 흔히 물결표시라고 부른다 ! 느낌표, Exclamation mark(엑스클러메이션) 흔히 느낌표라고 부른다. @ 골뱅이, At sign(앳 사인) 한국에선 흔히 골뱅이라고 부른다. # 우물 정자, Sharp(샵), Number sign(넘버 사인) 한국에선 흔히 우물 정자라고 부른다. ^ 캐럿(caret) 무엇무엇의 이상, 이하를 얘기할때 이상과 관련된 내용을 작성할 때 사용.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호가 아님. & 엠퍼센드(Ampersand) - Hyphen(하이픈), Dash(대시), 마이너스 _ Under..

메소드와 프로퍼티에 대해 간단한 정리

흔히 '함수 = 메소드' 라고, 같은 뜻인데 다르게 부르는 거라고 알려주는 교재들이 많다. 하지만 정확히 따지자면 메소드는 '객체에 속한 함수'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객체에 속한 함수는 함수라 부르지 않고 메소드라고 부른다. querySelector( )는 함수고, document.querySelector( )는 메소드라는 거다. 전자는 단순한 함수고, 후자는 document 객체에 속한 querySelector 함수라서 메소드라고 부른다. 프로퍼티도 메소드와 비슷하다. 프로퍼티는 '객체에 소속된 변수'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운동일지 12/2 (금) - 등, 이두

티바로우 워밍업 10kg로 적당히 수행. 20kg 15회 1세트 30kg 15회 1세트 40kg 12회 5세트 랫풀다운 40kg 13회 1세트 40kg 15회 5세트 시티드로우 87.5kg 12회 1세트 80kg 12회 5세트 지쳐서 무게 통제가 제대로 안되서 무게 좀 낮추고 가동범위 넓게 가져갔다. 바벨컬 30kg 10회 1세트 30kg 9회 1세트 30kg 7회 1세트 30kg 5회 1세트 30kg 4회 1세트 20kg 4회 1세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