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13

HTML <script>태그의 defer속성

defer 속성은 페이지가 모두 로드 된 후에 로 불러온 외부 스크립트가 실행되어야 함을 명시하는 속성이다. 불리언 속성이라 명시하지 않으면 false, 명시하면 true값을 가지게 된다 이 속성은 태그가 외부 스크립트를 참조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src 속성이 명시된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태그가 head 태그에 있고, 태그가 참조하는 외부 스크립트에서는 body태그에 작성된 내용을 이용해 코드를 실행시켜야할때. 웹페이지를 동작시키면 body 태그를 읽어들이기 전에 head태그에 있는 script 태그가 실행되면서 외부 스크립트는 body태그의 내용을 받지 못해 실행이 되지 않는다. 이때 script에 defer 속성을 추가하면 script의 외부 스크립트는 페이지 로드가 전부..

웹소설 작법 공부 31 ~ 40

31. 글은 영감이 떠오를 때 쓰는 게 아니라 매일 쓰는 거다. 프리랜서이면서도 매일 정해진 시간에, 오랜 기간 연재해야하는 작가의 특성상 루틴을 지켜서 규칙적으로 살지 않으면 몸 건강이 금방 망가지게 된다. 웹소설 연재는 하루만 쉬어도 연독률이 눈에 보이게 떨어지고 만일 건강이 망가져 오랜기간 쉬게 된다면 연독률이 무너지고 복구가 불가능해진다. 웹소설 작가는 1년 내내 글을 쓸 수 있어야하고, 그러기 위해선 규칙적으로 생활해야한다. 32.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 장르를 가리지 말고 재밌는 이야기를 집어넣어라. 많이 봐야 작품을 보는 눈이 늘어난다. 그리고 이야깃거리를 얻는데엔 소설보다는 만화, 영화, 드라마와 같은 다른 매체들이 더 유리하기도 하다. 그리고 웹소설을 읽을 때 세세하게 분석하면서 ..

웹소설 작법 공부 21 ~ 30

21. 다양한 시점 변화를 활용하면 좋다. 인기작들을 보면 1인칭과 3인칭 시점을 혼용하는 것도 있고, 주인공 시점에서 진행되는 사건을 악역이나 조연 시점, 주인공의 계략에 넘어가는 인물의 시점, 주인공은 미리 정보가 있어 무작정 앞으로 나가지만 그걸 모르고 끌려가는 조연들의 시점, 힘을 주고 싶은 히로인 등 조연들의 1인칭 시점 등 기성작가들은 다양한 시점 변화들을 활용한다. 22. 등장인물들이 많은 소설들은 독자들이 얘가 누구였는지, 어떻게 생겼었는지 기억을 하기가 어려우니까 그 인물들의 특징을 간략히 묘사해주면 좋다. 외형이나 성격 같은 것들로. 간략한 예시를 들자면 --- "퍼거슨!" 내 부름에 금발 푸른눈의 전사가 무릎을 꿇었다. 나는 기어이 끝까지 따라오는 저 지독한 사내를 내려다봤다. ---..

웹소설 작법 공부 11 ~ 20

11. 롱런하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조연이 필요하다. 스토리라는게 결국 주인공의 행동과 그에 대한 주변 인물, 사물 등의 리액션의 반복인데 리액션을 담당할 조연이 중요한 건 당연하다. 다만, 절대 주인공 자리를 위협할 만한 조연이 있어서는 안된다. 약간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주인공이 간손미인데 조연이 유비, 조조이면 안된다는 거다. 초보 작가들은 일단 조연을 만들 때 주인공에게 절대로 충성하면서 동시에 개그를 담당하는 캐릭터나 주인공에게 무조건적으로 의미있는 조언을 해주는 캐릭터와 같이 스토리 진행에 도움이 되면서 같이 다녀도 이상하지 않은 캐릭터로 만드는게 좋다. 평면적이긴 해도 중간은 가는 캐릭터들이다. 12. 개연성을 챙기려면 떡밥 뿌리기, 밑밥 깔기, 복선 깔기라고 표현되는 내용을 잘 챙겨야한다...

웹소설 작법 공부 1 ~ 10

1. 웹소설 제목은 내용을 직접적으로, 한문장으로 표현 가능해야한다. '악당은 살고 싶다' 같은 느낌으로. '가르딘 전기' 같은 이름은 옛날에나 먹히지 지금은 독자를 끌어모으지 못한다. 2. 글의 장르를 명확하게 정해둬야한다. 작가물로 시작했는데 회사 차리고나서 경영물로 바뀐다던가 하는 식으로 장르가 바뀌면 점점 읽기 싫어진다. 정통 판타지, 퓨전 무협, 아카데미물 등등 장르는 명확하게 정해두자. 3. 메인 서사는 단순해야한다. 어차피 메인서사 진행하면서 충분히 이야기가 풍부해진다. '악당은 살고 싶다'는 악당이 사망 원인 제거하려고 행동하면서 여러 에피소드가 펼쳐진다. '진화하는 우주괴수가 되었다'는 우주괴수가 최종진화까지 도달하기 위해 행동하면서 여러 에피소드가 진행된다. 이처럼 메인서사 하나만 딱 ..

1인칭 시점은 함부로 쓰면 안된다

웹소설 여럿 읽어보면서 느낀 점인데 1인칭은 함부로 쓰면 안된다. 주인공이나 적당히 매력 있는 캐릭터의 1인칭 시점이라면 거의 문제가 없다. 필력을 탈 뿐이지. 문제는 매력적이지 못한 캐릭터의 1인칭 시점이다. 1인칭 캐릭터가 선역이든 악역이든 관계없이 매력적이라면 1인칭을 써도 되지만, 만약 독자들이 전혀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캐릭터로 1인칭 시점을 쓰면 즉시 글의 매력이 떨어진다. 내용 전개를 위해 필요하네 어쩌네 하면서 굳이 매력 없는 캐릭터에게 1인칭 시점을 써줘가며 글 지분을 할애하지 말고 다른 방식으로 전개할 방법을 찾는게 소설을 위한 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