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16

식사, 영양섭취 타이밍

https://www.youtube.com/watch?v=VUoTSF-w2lE 위 영상에서 나한테 필요한 부분을 뽑아와 정리했다. 1. 어쩔 수 없이 아침, 점심을 챙기지 못했다면 저녁을 챙겨먹고 저녁운동을 쉬어라. 만약에 운동을 포기할 수 없다면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포츠 음료나 꿀, 혹은 bcaa같은 아미노산을 먹고 운동해라. 2. 점심을 먹고 간식은 먹지 않은 채 운동을 가야하는 조건이라면 점심을 두둑하게 먹어둬라. 탄수화물, 단백질 위주로 먹으면서 지방과 섬유질을 풍부히 함유한 식사를 하는 게 필요하다. 3. 운동 전에는 굶을 수 있지만 운동 후에는 무조건 먹어야한다. 저녁운동 후 늦은 시간에 식사를 챙기는건 근육량 증가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건강적인 부분에선 마이너스다. 늦은시간에 운..

운동일지 6/3 (금) - 이두

덤벨컬 11kg. 워밍업 5회 1세트, 10회 4세트 저녁식사를 안해서인지는 모르겠는데 회복이 제대로 안됐다. 워밍업 5회와 1세트 10회는 잘 수행했는데, 2세트 째에서 9회쯤에 힘이 달려서 반대손으로 살짝 거들어서 끝까지 수행했다. 3세트 째엔 8회정도 수행하고 실패했고 4세트는 아예 한두번 들어올리니까 팔이 힘을 못썼다. 세트당 휴식시간은 3분이라 모자라진 않는데 이런다. 1세트째에 너무 많이 들어서 그럴까? 9회만 들었어야했나? 원래는 등운동 후에 덤벨컬을 하지만 문틀철봉이 지금 설치되지 않아서 못했다. 저번에 문틀철봉 높이가 낮게 설치된 거 같아서 좀 높게 재설치하려 했는데 1시간동안 붙잡고 씨름해도 제대로 설치가 안되서 집어던진 후로 계속 설치하기가 싫어서 그대로 방치중이다. 언젠간 설치하겠지

운동일지 - 6/2 (목) 하체, 어깨

하체 - 불가리안 스플릿 스쿼트 10회 4세트를 진행하려 했는데 오른쪽 다리는 인대 수술한 자리라 그런지 실패했다. 균형잡는데 인대가 힘을 못써서 근육으로 균형을 잡아서 힘이 왼다리보다 더 드는 것 같다. 그래도 처음 하는 운동이기도 했고 점점 한발로 균형잡는게 감이 와서 나중엔 양다리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 같다. 어깨 - 아놀드 프레스 8회 4세트. 성공. 어깨운동은 예전부터 전면, 후면, 측면 운동을 각각 가져가기 귀찮아서 한가지 운동만 했었다. 바로 아놀드 프레스다. 이 운동은 전면과 측면을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고 해서 어깨는 이것만 한다. 후면은 운동시간을 더 늘리기 싫으므로 포기한다.

운동일지 5/28 토요일 - 등, 이두

어제 깜빡해서 오늘 쓴다. 철봉 매달리기 25초 4세트 덤벨컬 11kg 10회 4세트 원래 덤벨컬은 실패 안했는데 이번엔 앞서서 철봉에 매달려서 그런가 실패했다. 오른팔은 성공했는데 왼팔만 3, 4세트 실패한거 보면 매달릴 때 왼쪽으로 좀 치우친 거 아닌가 생각된다. 철봉 매달리기는 정확한 초는 모르는데 대략 25초정도 매달렸을 거다. 몸무게가 95kg쯤 되다보니 몸을 못올리겠다. 그래도 예전에 한창 헬스할 땐 절반정돈 들어올렸는데 지금은 아예 안된다.

인간관계, 돈에 관하여

오랜만에 외삼촌을 만나서 점심을 먹을 때 이 얘기가 나왔다. "인간관계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만나는건 우연일지라도 만들고 유지하는건 노력이 필요하다. 노력이라는게 별 거 아니다. 많이 얘기하고, 자주 같이 다니면 된다. 예를 들면 밥을 같이 먹는다던가 등등. 생각해보면 학창시절에는 같은 반에서 자주 보다보니 점점 친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학생이 되고나니 내가 먼저 다가가거나 하는게 아니면 친해지는 경우가 별로 없었다. 누군가 나와 친해지려고 다가오는걸 기다리는 것보다는 내가 다가가서 노력하는게 인간관계를 넓히는 현실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삼촌은 동호회나 동아리를 들어가는게 좋다고 한다. 한 동호회에 들어가면 회원의 10%정도는 친해지는것 같다고 하셨다. 5%는 절친, 5%는 절친은 아니라도 꽤 친..

[운동일지] 5/27 금요일 - 가슴, 삼두 운동

1. 팔굽혀펴기 6회 4세트. 마지막세트 실패해서 무릎대고 6개. 2. 오버핸드 익스텐션 11kg 10회 4세트. 마지막세트 8개에서 실패. 몸무게가 95kg이라 너무 힘든거같다. 운동도 오래쉬어서 그런가 삼두가 너무 약해졌고. 술, 음료박스 옮길때 이두는 자주 사용해서 근력이 어느정도 유지된게 다행이다. 유지되긴 했어도 말랑하긴 마찬가지지만. 다시 열심히 하자.

모두의 알고리즘 문제11. 퀵 정렬 연습 문제

11-1 거품정렬 과정을 알고리즘으로 적어보라 def bubble_sort(a): n=len(a) while 1: change=False for i in range(0, n-1): if a[i] > a[i+1]: a[i], a[i+1] = a[i+1], a[i] change=True if change==False: return d=[2, 4, 5, 1, 3, 9, 11, 22, 7, 2] bubble_sort(d) print(d) 결과: [1, 2, 2, 3, 4, 5, 7, 9, 11, 22] 처음엔 재귀함수를 써야하나 했는데 생각해보니 반복문으로 충분하겠더라. 첫 시도에선 while문 탈출 조건을 True/False가 아니라 변수 하나에 0을 저장하고 앞뒤 값이 바뀌지 않을때마다 변수에 1을 더해서 ..

모두의 알고리즘 문제 11. 퀵 정렬

퀵 정렬은 '피벗(pivot)'이라는 기준을 하나 선정하고 피벗보다 큰 리스트, 피벗보다 작은 리스트로 리스트를 나누어 정렬하고 다시 합하는 정렬 방식이다. 쉽게 설명한 퀵 정렬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def quick_sort(a): n = len(a) if n > [1, 2, 3, 4, 5] 가 된다. 그리고 이번 정렬에서도 재귀함수가 쓰였는데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리스트a = [6, 8, 3, 9, 10, 1, 2, 4, 7, 5]일 때 피벗은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로 정한다고 가정한다. 2. 리스트 a는 피벗=5를 기준으로 피벗보다 크고 작은 리스트 두개로 나뉜다. [3, 1, 2, 4], 5, [6, 8, 9, 10, 7] 3. [3, 1, 2, 4]는 마지막 원소를 피벗으로 삼는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