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2/06 3

실행 프로그램의 PyTorch가 CUDA를 인식하는 것에 대해서(+ 설치법 링크)

얼마 전 PyTorch와 CUDA를 사용해서 GPU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파일로 만들어서 내 로컬 컴퓨터에서 실행에 성공하고 피시방 컴퓨터에서도 실행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후 의문이 들었다. 내 컴퓨터야 cuda 설치가 끝났는데 피시방 컴퓨터에서는 cuda 설치를 한 적이 없다. 피시방 컴퓨터에서 nvcc 명령어도 먹히지 않았다. 실행 프로그램을 컴파일할 때 cuda도 같이 컴파일 된 건가 했는데 챗gpt에게 물어보니 그럴 일은 없다고 하고 관련된 내용도 찾지 못했다. 데이터 사이언스 톡방에 여쭤보니 nvcc만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nvcc가 cuda 경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고, 해당 컴퓨터에 cuda는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였을 거라고 한다. 그 cuda를 실행파일의 코드가 제대로 접근해서 사..

쿠키, 세션, 캐시 구별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OpoVuwxGRDI 세션은 사이트 이용자들의 중요 정보를 총괄하는 곳이다. 세션을 사용하는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서버에서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기한이 짧은 임시키 하나를 브라우저에 보내서 쿠키로 저장한다. A라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돌아다닐 때 사용자의 중요한 정보들은 이 사이트의 서버의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브라우저가 이 사이트의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http 요청에 이 키를 실어서 전송하고, 서버는 그 키를 보고 얘가 A 사용자구나 하고 인식해서 A의 정보들을 가공해서 응답으로 보내준다. 네이버에 한번 로그인하면 다른 네이버 페이지를 돌아다닐 때마다 로그인할 필요가 없는 것은 쿠키와 세션의 조합으로 내 컴퓨터에서 네이버에 로그..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

https://www.youtube.com/watch?v=t9ccIykXTCM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에 대해서 좀 더 정확히 알고 싶어서 공부했다. 기존에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는 그냥 라이브러리가 여러개 모인게 프레임워크다 정도로 모호하게만 알고 있었다. 이 영상에서는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다. 어떠한 기능을 구현할 때 호출하는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이다. 내가 어떠한 기능을 구현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호출한다.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기능을 구현하고 싶으면 사용자에게 어디에 코드를 넣어야 하는지 등 규칙을 알려준다. 라이브러리는 나도 써봐서 알지만 GUI를 제작하고 싶으면 사용자가 알아서 tkinter나 PyQt를 호출해서 사용하고, YOLOv8을 파인튜닝하고 싶으면..

반응형